본문 바로가기

요리 & 음식재료

[스크랩] 전통음식, 약선요리, 한국음식, 음양오행, 사상체질

  전통음식, 약선요리, 한국음식, 음양오행, 사상체질

오행(五行)이란?

오행(五行)학설은 다섯 가지 기운(원리)이 작용하여 우주를 움직이는 것으로 보았다.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가 그것이다.


먼저, 목(木)이란 생(生)의 기운으로 나무가 땅에 뿌리를 박고 하늘을 향해 쭉쭉 뻗어나가는 것으로 보았고,

화(火)는 불이 번지듯 뜨겁고 위로 상승하는 것을 의미한다. 토(土)는 땅에 씨를 뿌려 농작물을 수확하는 것을

말하고, 금(金)은 변혁을 의미하며 수렴(收斂)을 뜻하고,

수(水)는 아래로 향하는 특성이 있어 냉(冷)하고 자윤(滋潤)한다.


오행(五行)은 상호간에 영향을 주고 상생(相生), 상극(相剋)이라는 운동으로 평형을 유지한다고 보았다.
상생(相生)은 한 물질이 다른 물질에 대하여 살도록 도와주는 것을 말한다.
오행(五行)의 상생순서는 목생화, 화생토, 토생금, 금생수, 수생목으로 목은 화를 도와주고

화가 토를, 토가 금을, 금이 수를, 수가 목을 도와준다는 뜻이다.


상극(相剋)은 한 물질이 다른 물질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오행의 상극순서는 목극토, 토극수,

수극화, 화극금, 금극목 이다.


오행(五行)의 상생(相生)과 상극(相剋)은 정상적인 작용으로 볼 수 있으나 비정상적인 상극(相剋)현상으로

과도한 상극(相剋)으로 인한 상승(相乘)과 상모(相侮)는 정상적인 상극(相剋)이 아닌

도리어 극(克)을 당하는 경우를 말한다.


오행(五行)의 순서대로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를 자연계에 적용시켜보면

오미(五味)는 산(酸):신맛, 고(苦):쓴맛, 감(甘):단맛, 신(辛):매운맛, 함(鹹):짠맛 이라 할 수 있다.


오색(五色)은 청(靑), 적(赤), 황(黃), 백(白), 흑(黑)이며,

오방(五方)은 동(東), 남(南), 중(中), 서(西), 북(北)이다.

오계(五季)는 춘(春), 하(夏), 장하(長夏), 추(秋), 동(冬)으로 볼 수 있다.


오행(五行)의 순서대로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를 인체에 적용시켜보면

오장(五臟)은 간(肝), 심(心), 비장(脾臟), 폐(肺), 신(腎)이고,

육부(六腑)는 담(膽), 소장(小腸), 위(胃), 대장(大腸), 방광(膀胱)이다.

오관(五官)은 목(目), 설(舌), 구(口), 비(鼻), 이(耳)이며,

오지(五志)는 노(怒), 희(喜), 사(思), 비(悲), 공(恐)으로 볼 수 있다.

 


이를 약선(藥膳)에 적용 시켜본다면 어느 장기가 허약할 때 그 장기에 관여하는 맛이 나는 약재를 사용하면

좋다. 예를들어 간에 이상이 있을 때에 매운맛과 찬 성질의 시호라는 약재를 많이 사용한다. 그냥 시호를

사용하는 것보다도 시호를 식초에 볶아서 사용하면 신맛이 간에 작용하므로 더 많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황기를 꿀에 절이거나 볶으면 단맛이 생겨 비장에 관여하게 됨으로 좋은 효과를 낼 수 있는 것과 같이

약을 장기에 맞게 인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법제라고 한다.


약선(藥膳)음식의 대부분은 여러 가지 재료를 함께 사용하여 만들게 되는데 재료의 구성에 대한 일정한 규칙을

배오(配伍)이론이라고 하며 칠정(七情)과 군신좌사(君臣左使), 배오금기(配伍禁忌)가 있다.


먼저, 한약이나 약선음식의 재료 배합의 유형을 7가지로 나눈 것을 칠정(七情)이라 한다.

첫째, 단행(單行)은 병의 상태가 단순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이름 그대로 감초당(甘草湯), 독삼탕(獨參湯)처럼

감초나 인삼 한 가지 약재만으로 처방을 구성해서 약효를 내는 것으로 그 효능에 집중 치료효과는 높은 반면

부작용도 그대로 나타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둘째, 상수(相須)는 효능이 서로 유사한 효능의 약을 함께 써서 약효를 증강시키는 방법이다.


셋째, 상사(相使)는 약성과 효능이 유사한 약재를 사용하되 하나가 주가 되게 하고

다른 하나가 보조가 되게 해 효능을 강화시키는 배합방법이다.


넷째, 상외(相畏)는 상호억제인데 한 약재가 약간의 독성을 가지고 있으면

그 독성을 억제하는 약물을 함께 배합해서 유해한 작용을 없애는 것이다.


다섯째, 상쇄(相殺)는 어느 한 가지 약물이 다른 약물의 효능을 감경(減輕)시키거나 제거되는 배합방법이다.


여섯째, 상살(相殺)은 한 약물이 다른 약물의 중독을 제거하는 것이다.


일곱째, 상반(相反)은 두 가지 약물을 함께 사용했을 때 독성이나 부작용이 더욱 증강되는 배합으로

처방 시 주의를 요하는 배합방법이다.

 

 

약선 처방의 기본 원칙으로 처방지침이 되는 여러 방법을 따라야 하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이 "군신좌사(君臣佐使)"이다.


"군(君)"이란 가장 주가 되는 주재료로 현 질병을 치료하는데 필요한 약재로 분량이 가장 많다.


"신(臣)"은 군(君)과 같이 배합되어 보조하고 효능을 강화 시키며

군(君)의 불필요한 작용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좌(佐)"는 군(君)을 협조하여 주증(主症)이외의 병증(病症)을 치료하거나 군(君)에 대해 제약(制約)작용을

하여 증상에 따라 군(君)과 신(臣)의 효능이 필요한 특정부위에 이르도록 이끌어주는 역할을 하고


"사(使)"는 처방된 모든 약들이 서로 잘 조화가 되도록 하고

아울러 혹시 있지도 모를 독소를 제거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중에서 “사(使)”의 대표적인 약이 바로 감초이다. 약방의 감초’라는 말처럼 한약처방의 대부분에는

감초가 들어가고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배오금기(配伍禁忌)는 약재와 식재료 간에 함께 사용하면 부작용이 생길 수 있고,

심지어 생명을 위협할 수 있음으로 함께 사용하지 말아야 하는 것으로

십팔반(十八反), 십구외(十九畏)있다.


십팔반(十八反)은 한약의 배합에서 금지하는 유형으로 두 가지의 약물을 섞어 쓸 때

심한 부작용이 생기는 것을 상반(相反)이라 하며, 18종의 상반되는 약물이 있다.


십구외(十九畏)는 배합에서 금지하는 또 하나의 하나의 유형으로, 두 가지의 약물을 섞었을 때

한 약물이 다른 약물의 억제를 받아 그 독성이 감소되거나 효능이 완전히 상실되는 것을 상외라고 하고

19종의 상외 약물을 말한다.


더러는 약물의 상반상성 작용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질병을 치료하기도 하였고, 관습적인 금기와

비합리적인 금기도 있어 합리적인 기준을 적립하기 위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출처 : 효소 건강의 터전 내일의 향기
글쓴이 : 唵緣(암연) 원글보기
메모 :